알고리즘/백준

[백준 / 그래프] 2178 : 미로 탐색 (python)

난감 2024. 4. 10. 16:50
728x90

문제 설명

문제

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

1 0 1 1 1 1
1 0 1 0 1 0
1 0 1 0 1 1
1 1 1 0 1 1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예제 입력 1

4 6
101111
101010
101011
111011

예제 출력 1

15

예제 입력 2

4 6
110110
110110
111111
111101

예제 출력 2

9

예제 입력 3

2 25
1011101110111011101110111
1110111011101110111011101

예제 출력 3

38

예제 입력 4

7 7
1011111
1110001
1000001
1000001
1000001
1000001
1111111

예제 출력 4

13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input().split())
maze = []
visited = [[-1 for _ in range(M)]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maze.append(list(map(int, input())))

#    상  하  좌  우
dx = [0, 0, -1, 1]
dy = [1, -1, 0, 0]

def BFS(v):
    # 큐에 시작 노드 삽입
    q = deque()
    q.append(v)
    visited[v[0]][v[1]] = 1

    while q:
        n = q.popleft()
        # 갈 수 있는 좌표 탐색
        for i in range(4):
            x = n[0] + dx[i]
            y = n[1] + dy[i]
            # 유효한 좌표인지 검사
            if x > -1 and y > -1 and x < N and y < M and maze[x][y] == 1:
                if visited[x][y] == -1 or visited[x][y] > visited[n[0]][n[1]] + 1:
                    q.append((x, y))
                    visited[x][y] = visited[n[0]][n[1]] + 1

BFS((0, 0))
print(visited[N-1][M-1])

 

BFS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문제이다.

주어진 미로는 maze 배열에 담고, 방문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visited 배열을 생성한다.
visited 배열은 -1로 초기화하고, 방문한다면 이전 노드+1의 값을 저장하여 그 칸에 가기까지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표시한다.
미로는 (0, 0)에서 시작하고,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하기 위한 dx, dy 배열을 만든다.

BFS를 활용하여 갈 수 있는 칸을 탐색한다. x, y는 배열 내의 인덱스여야 하고, maze[x][y]가 1이어야 한다.
방문하지 않은 칸이거나 방문했더라도 현재 경로보다 클 경우, visited에 새로운 경로 값을 할당한다. 그리고 큐에 현재 칸을 넣어준다.

BFS로 모든 경로를 탐색한 뒤 visited에 저장된 (N, M)의 최단 경로를 출력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