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6)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름LEVEL 유형 트레이닝 / 구현] 장마 (python) 문제 설명마을 내 각각 집의 땅 높이가 주어지고, 장마가 내린 뒤 땅 높이를 구하는 문제이다.장마 기간 동안 배수 시스템의 작동을 고려하여 땅 높이를 계산하면 된다. 배수 시스템은 3의 배수가 되는 날마다 작동하고, 작동 날짜를 기준으로 2일 이내에 비가 내린 위치에서만 작동한다.5 60 0 0 0 01 21 31 12 22 34 5예를 들어 위와 같은 입력을 받았다고 하자.집은 5개, 장마 기간은 6일이다. 배수 시스템은 3일째, 6일째에 작동한다. 3일째에는 1, 2, 3일 동안 비가 내린 위치에서, 6일째는 4, 5, 6일 동안 비가 내린 위치에서 작동한다.따라서 3일째에는 1, 2, 3번 집에 배수 시스템이 작동하고, 6일째에는 2, 3, 4, 5번 집에 배수 시스템이 작동한다. 풀이N, M = .. [구름LEVEL 유형 트레이닝 / 구현] 딱지놀이 (python) 풀이round = int(input())for r in range(round): a = list(map(int, input().split())) b = list(map(int, input().split())) a_cnt = [0, 0, 0, 0, 0] b_cnt = [0, 0, 0, 0, 0] for i in range(a[0]): a_cnt[a[i + 1]] += 1 for i in range(b[0]): b_cnt[b[i + 1]] += 1 if a_cnt[4] == b_cnt[4]: if a_cnt[3] == b_cnt[3]: if a_cnt[2] == b_cnt[2]: if a_cnt[1] == b_cnt[1]: print("D") #무승부 elif a_cnt[1] .. [구름LEVEL 유형 트레이닝 / 구현] 인공지능 청소기 (python) 풀이test_case = int(input())for t in range(test_case): X, Y, N = map(int, input().split()) move = abs(X) + abs(Y) if (move - N) 제일 처음 입력받는 test case 수를 test_case 변수에 입력받는다.테스트 케이스 수만큼 반복문을 돌면서 각각 로봇청소기가 도달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YES 또는 NO로 출력한다. (0, 0)에서 (X, Y)까지의 최소 이동 거리는 |X| + |Y|이다. 따라서 abs 함수를 이용하여 절댓값을 씌워준 값으로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move 변수에 저장한다. 로봇 청소기가 도달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동거리가 N보다 작거나 같아야하고 (이동거리가 N초보다 더 크면 당연히 그 시간.. [구름LEVEL 유형 트레이닝 / 구현] 소금물의 농도 구하기 (python) 풀이import mathN, M = map(int, input().split())salt = 0.07 * Nanswer = (salt / (N + M)) * 100print (f"{(math.trunc(answer * 100) / 100):.2f}") 소금물의 농도 = 소금 양 / 소금물의 양 * 100위 공식을 이용하여 풀면 된다.소금물의 양이 N, 소금물의 농도가 7%로 주어지므로, 소금 양은 (0.07 * N)g이 된다.소금을 추가했을 때 새로워진 소금물의 농도를 소수 2번째 자리까지 표현하고 나머지는 버려야한다. 따라서 trunc을 사용해 소수점 자리를 버리고, f-string을 이용해 소수점 2번째 자리까지 표현했다.(f-string을 추가로 사용한 이유는 답이 trunc로 소수점 2번째 자리까.. [Python] 소수 2자리 출력하기 (반올림, 올림, 버림) 반올림f-stringpi = 3.1415926535print(f"{pi:.2f}") #3.14f-string은 f"{number:.nf}" 형태로 사용하며 소수 number를 n자리까지 반올림한다.파이썬 3.6부터 업데이트된 기능이다. f와 {}중괄호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포맷팅한다.소수 몇 자리까지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roundpi = 3.1415926535print(round(pi, 2)) #3.14round(number, n)은 number를 n자리까지 반올림한다. 올림math.ceilimport mathpi = 3.1415926535print(math.ceil(pi * 100) / 100) #3.15math.ceil(number)은 number를 소수 한자리에서 올림한다.. 프로젝트 깃허브 주소 https://github.com/chair00 chair00 - Overviewchair00 has 9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github.com 1. SW_project설명; 동아리실 좌석 배정을 위한 출석부 웹앱 역할; 백엔드 (jwt를 이용한 로그인 및 목표 시간, 관리자 기능 구현) https://github.com/chair00/SW_project GitHub - chair00/SW_project: 3-1 소프트웨어설계 과목 프로젝트3-1 소프트웨어설계 과목 프로젝트. Contribute to chair00/SW_projec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AWS] 1년 무료 프리티어 계정에 요금 청구됨 지난 달 AWS 계정을 생성하고 1년동안 특정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오늘 새벽 AWS에서 요금 청구가 발생했다는 결제 알림과 이메일이 왔다. 금액은 원화로 7천원 정도 되는 적은 금액이었지만 분명 가입할 때 크게 사용하지 않는 이상 요금이 발생하지 않다고 들어서 당황스러웠다. 자기 계정(화면 젤 위 우측) - 결제 및 비용 관리 - 청구 및 결제 - 청구서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청구서에서 요금이 발생한 항목은 총 2가지다. Route 53과 IPv4 Addresses. 우선 Amazon Route 53 HostedZone - $0.50 per Hosted Zone for the first 25 Hosted Zones는 이전에 프론트엔드 서버(netflify)와 연결을 위해 .. [DB 설계] PK에 더 적합한 자료형은 varchar? bigint? PK(Primary Key)는 bigint 타입으로 설정하는 게 좋다. 회원 db를 설계할 때 email이나 사용자가 설정하는 id를 pk로 사용할까 했는데(varchar 타입), ERDCloud에서 db설계한 자료를 참고하니 대부분 pk를 bigint 자료형으로 써서 왜 그런걸까 찾아봤다. pk는 변하지 않는 값을 써야한다.id나 email이 아무리 변하지 않고 중복되지 않는 값이라 하더라도, 혹시 모를 상황에 이를 변경할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pk로 잘 쓰지 않는다.join 시 연산속도가 더 빠르다.pk는 다른 테이블에 fk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varchar보다 bigint가 저장공간을 덜 차지한다.join 연산이 좋으면 인덱스 성능도 더 좋다. 대표적으로 위 두가지 이유가 있었다.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목록 더보기